주식

코스피·코스닥 동반 하락, 경기 둔화와 엔캐리 청산 우려 겹쳐 📉

Saintbak 2024. 12. 1. 20:29

🔍 서론

11월 29일 코스피가 2% 가까이 급락하며 2455.91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세와 경기 둔화 우려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증시 하락을 가속화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의 주요 흐름과 하락 요인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코스피·코스닥 주요 지수 흐름

1️⃣ 코스피 지수

  • 종가: 2455.91 (-1.95%, -48.76포인트)
  • 장중 저점: 2446.96
  • 외국인 순매도: 7482억 원
  • 기관 순매수: 5907억 원
  • 하락 원인:
    • 경기 둔화 우려: 한국은행이 2024년 성장률 전망을 2.2%로 하향 조정하며 경기 둔화 신호를 보냄.
    • 산업활동 트리플 약세: 산업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모두 감소.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엔화 강세 우려가 커짐.

2️⃣ 코스닥 지수

  • 종가: 678.19 (-2.33%, -16.20포인트)
  • 외국인 순매도: 1136억 원
  • 개인 순매수: 1130억 원
  • 주요 하락 요인:
    • 투자심리 위축과 외국인 매도세로 대부분의 시총 상위 종목이 하락.
    • 알테오젠(-7%), 에코프로비엠(-6%), 에코프로(-5%) 등 주요 종목 급락.

🔑 주요 하락 요인 분석

1️⃣ 외국인 매도세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

  •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가 급부상.
  • 엔캐리 트레이드란?
    일본의 낮은 금리로 빌린 자금을 해외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
    • 결과: 엔화 강세가 외국인 매도세로 이어져 국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2️⃣ 경기 둔화 우려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성장률 전망 하향으로 경기 둔화 우려 심화.
  • 산업생산(-0.3%), 소매판매(-0.5%), 설비투자(-3.8%) 모두 부진.

3️⃣ 글로벌 무역분쟁 리스크

  • 미국발 무역분쟁 우려가 지속되며 글로벌 투자심리 위축.
  • 반도체 업황 둔화와 이차전지주 약세로 대형주가 동반 하락.

🔍 시총 상위 종목 분석

1️⃣ 코스피 시총 상위 종목 흐름

  • 삼성전자: -1.5%
  • SK하이닉스: -2.1%
  • LG에너지솔루션: -1.8%
  • POSCO홀딩스: -3.2%
  • 셀트리온: +0.5%
  • 네이버: +0.8%

2️⃣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흐름

  • 알테오젠: -7.3%
  • 에코프로비엠: -6.1%
  • 에코프로: -5.8%
  • JYP Ent.: +2.3%

🔮 향후 증시 전망

1️⃣ 낙폭 과대 종목 반등 가능성

  • 환율 안정화와 증시 밸류에이션 매력 상승으로 낙폭 축소 가능.

2️⃣ 엔·달러 환율 주시 필요

  •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여부가 12월 증시 흐름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

📌 결론

11월 29일 국내 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이 겹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환율 안정과 투자심리 회복이 이루어진다면 하락세가 다소 완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될지, 12월 증시에서 반등 기회가 올지 주목됩니다.


🔗 관련 자료 및 참고 링크